일상에 필요한 것들

전입신고 하는 법 보고 따라만 하세요 (정부24 - 초간단!)

윤세블리 2021. 6. 17. 11:50

전입신고 하는 법!

굳이 동사무소 갈 필요 없습니다.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10분 이내 가능하니 보고 따라만 하시면 됩니다.

 

1. 먼저 '정부24' 를 검색창에 입력해줍니다. -> 정부24 사이트 접속.

 

 

 

 

2.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했다면, 검색어 입력칸에 "전입신고" 를 칩니다.

전입신고를 검색했을 때 나오는 오른쪽 밑에 서비스 바로가기 바로 밑 "전입신고" 글자 클릭!

 

 

 

3. 밑에 화면이 나오면 이제 '신청하기' 버튼 클릭!

 

 

 

 

4. 신청하기 누르면 회원 신청하기/비회원 신청하기 가 뜨는데, 요건 마음대로 해주셔도 됩니다. 

회원 신청하실 분들은 회원가입하고 진행해주시면 되고, 비회원으로 하실분들은 비회원 신청하기 누르시면 됩니다. 

저는 귀찮아서 그냥 '비회원 신청하기' 로 했습니다.

 

 

 

 

5. 모두 동의해주고, 비회원으로 신청하셨다면 맨 밑에 '비회원 신청 정보입력' 에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입력해 줍니다. '회원 신청하기' 하신 분들은 따로 하실 필요 없습니다.

 

 

 

 

 

6. 위에 과정을 다 마치면, 이제 1단계 신청인 정보란으로 넘어갑니다. 전입하는 사유만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7. 전입하는 사유 선택 후,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 이사하기 전에 살던 주소 입력 칸이 나옵니다. 

"주소입력" 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밑에 화면과 같은 인증 화면이 나옵니다. 본인이 원하시는 인증 버튼 눌러주시면 됩니다. 간편인증 말고 공동인증서 인증칸도 있습니다. 저는 간편인증에서 카카오톡 인증 선택했습니다.

 

 

 

8. 저처럼 카카오톡 인증하기 하신 분들은 각자 휴대폰으로 인증하기 메세지가 날아올 겁니다. 

절차에 따라서 인증하기 해주시면 됩니다.  

 

 

9. 인증하기 완료 하시고, 나머지 상세주소 입력 후 다가구 주택여부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다가구주택 선택 헷갈리는 분들은 옆에 '다가구 주택이란?' 버튼 클릭하셔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10. 주소 입력, 다가구 주택여부 신청하시고, 밑에 화면에서도 해당되는 것들 선택해주시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거의 다 끝났습니다.)

 

 

 

 

11.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 초등학교 배정정보 신청,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감면 일괄신청 등 

아래 필요하신 부분들 동의 눌러주시고, 마지막으로 민원 신청하기 눌러주시면 됩니다.

 

 

 

 

12. 민원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제 최종적으로 아까 본인이 인증했던 방식으로 본인 인증 한 번만 더 진행해 주시면 끝!! 저는 카카오톡 인증하기를 선택했기 때문에 카톡 인증을 한 번 더 해줍니다. 

 

 

 

13. 전입신고 완료!! 끝입니다. 나의 신청내역 바로가기 들어가시면, 전입신고가 완료되어 '처리중' 이라고 뜨게 됩니다. 

이제 3시간 이전으로 결과는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이상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알아봤습니다.